-
1. print 함수
- 매개변수로 지정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줄을 변경
- 문자열은 ' ', " " 안에 써야한다.
- 숫자는 ( ) 안에 그냥 입력해도 된다.
2. 주석문
- 한 줄 주석은 # 기호를 통해 이용한다.
- 여러줄 주석은 ''', """ 기호를 통해 이용한다.
- 주석문은 프로그램 실행하면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print 함수의 활용
- print() 함수에서 사칙연산과 나머지를 구하는 식을 사용할 수 있다.
- '',"" 기호 안에 있는 숫자는 문자로 판단을해 정수와 문자간의 합으로 오류가 나온다.
- , 를 통해 띄어쓰기를 사용할 수 있고 여러개의 문자열로 나누어 출력 가능하다.
- end를 이용해 개행을 없애거나 원하는 문자를 입력 가능하다.
4. 출력 서식 지정하기
- %d(정수), %f(실수), %s(문자열)를 사용하여 출력 서식을 지정
- 서식을 제외한 문자는 입력한 그대로 출력이 됨
- 서식을 지정해서 출력할 데이터가 2개이상인 경우는 소괄호로 데이터를 묶어야 함
- %d에 실수를 넣으면 정수로 출력이 된다.
- %f에 정수를 넣으면 실수로 출력이 된다.
- %s에 숫자를 넣으면 문자열로 출력이 된다.
- %5d 같이 숫자를 입력하여 출력을 하면 5칸 만큼 공간을 확보한다.
- %05d는 빈공간에 0을 추가하여 출력한다.
5. format 함수와 출력 인덱스 사용
- format 함수를 사용할때 순서는 왼쪽부터 0부터이다.
- {0:3s}는 0번째 값을 3의 공간을 활용해 출력하는 것이다.
- {1:03d}는 1번째 값을 3의 공간만큼 출력을 하는데 빈공간에 0을 넣어 출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