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19)Python_모듈Python 2023. 3. 10. 15:40
1. 모듈 클래스 또는 함수를 모아 놓은 파일 모든 파이썬 파일(.py)은 모듈 # 모든 모듈의 전체 함수 가져오기 import 모듈명 # 사용 모듈명, 함수명() 코딩 설명을 시작하기에 앞서 먼저 생성한 모듈들을 먼저 표현한다. Util.py 모듈 간단한 함수를 만들어뒀다. Util2.py 모듈 간단한 클래스를 만들어뒀다. 모듈 코딩 시작 # 특정 함수만 골라서 가져오기 from 모듈명 import 함수1, 함수2 ... # 사용 함수명() # 모든 모듈의 함수 가져오기 form 모듈명 import * # 사용 함수명() # 모듈에 별명 붙여 불러오기 import 모듈명 as 별명 # 사용 별명.함수명() 2. 구글드라이브 활용 나는 모듈의 두 파일을 vscode를 이용하여 만들고 googledrive..
-
(17)Python_상속Python 2023. 3. 10. 15:01
1. 상속 기존의 정의해둔 클래스의 기능을 그대로 물려받음 기존 클래스에 기능 일부를 추가하거나, 변경하여 새로운 클래스를 정의함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 안정적이고 유지보수에 용이함 상속을 받고자 하는 대상인 기존 클래스를 부모, parent, super, base 클라스라고 부름 상속을 받는 새로운 클래스는 자식, child, sub 클래스 라고 부름 2. 메소드 오버라이딩 부모 클래스의 method를 재정의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로 호출시 재정의된 메소드가 호출 3. 다중상속 C#, Java는 다중상속이 불가능 파이썬은 C++과 같이 다중상속이 가능 여러 클래스를 상속(개수에는 제한이 없음)
-
(16)Python_객체지향과 클래스Python 2023. 3. 10. 13:08
1.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문제를 여러개의 객체 단위로 나눠 작업하는 방식 1-1. 객체(Object)란? 물리적으로 존재하거나 추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자신의 속성을 가지고 있고 다른 것과 식별 가능한 것을 말함 1-2. 클래스(Class)란?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일종의 설계도와 같음 클래스는 프로퍼티(필드), 메소드(함수)로 구성되어 있음 프로퍼티(Property):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 메소드(method): 객체의 동작에 해당하는 실행 블록 1-3. 클래스와 객체 건축 설계도가 클래스라면, 실제로 지어진 집은 객체 객체는 클래스로 구성되어 구체화된 인스턴스 실제로 클래스가 인스턴스화 되어 메모리에 상주하는 형태를 객체라고 부름 파이썬의 모든 변수와 함수는 객체로 저장 2. 클래스 만들..
-
(15)Python_간단한 문제Python 2023. 3. 9. 17:30
2-1. 주사위를 던져 주사위의 값을 맞추는 게임을 만들어보자 주사위의 값을 입력하세요: 4 주사위의 값:3, 틀렸습니다! 주사위의 값을 입력하세요: 2 주사위의 값:2, 맞았습니다. 주사위의 값은 입력할때마다 바뀐다. 2-2. '가위바위보' 게임을 만들어보자. 가위바위보 하나를 선택하세요 : 가위 컴퓨터 바위 나 가위 -> 졌습니다. 이기면 게임을 종료합니다. 2-3. 로또번호 예상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조건 1~45 까지 6개의 숫자를 무작위로 추출 죽복 안됨 오름차순으로 정렬 보너스 숫자는 생각하지 않음 2-4. 주민등록번호 유효성 검사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001011-3068518 0 0 1 0 1 1 3 0 6 8 5 1 8 (마지막 자리는 잠시 빼둠) 2 3 4 5 6 7 8 9 2 3 4..
-
(14)Python_랜덤 모듈Python 2023. 3. 9. 17:27
1. 랜덤(random) 모듈 임의의 숫자를 무작위로 변환 1-1. random() 0이상 1미만의 실수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를 뽑아 반환 1-2. randrange() 원하는 범위를 입력하여 범위의 무작위 정수를 반환 randint(처음,끝), randrange()는 끝 번호의 전까지 randint()는 끝번호까지의 수를 출력해준다. 1-3. shuffle() 자료구조에 저장된 값 중 하나를 무작위로 섞음 1-4. choice() 자료구조에 저장된 값 중 하나를 무작위로 변환
-
(13)Python_콜백함수와 람다함수Python 2023. 3. 9. 17:24
1. 콜백함수(Callback Function) 직접 호출하는 것이 아닌 다른 함수에 의해 호출되는 함수 2. 람다 함수(Lambda Function) 단일문으로 표현되는 익명함수 코드상에서 한번만 사용되는 기능이 있을때, 굳이 함수를 만들지 않고 일회성으로 만들어 사용(함수는 클래스를 통해 생성된 객체) return 형 2-1. 람다가 유용하게 사용되는 대표적인 함수 filter() 함수 map() 함수 첫 번째 매개변수로는 함수가 오고 두 번째 매개변수로는 반복 가능한 자료형(리스트, 튜플 등)이 옵니다.